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진짜 많이 헷갈리는 5가지 (예시로 설명)

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홈택스를 열었는데, 무었을 어떻게 해야 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, 당신만 그런 게 아닙니다. 심지어 세무사들조차 매년 비슷한 질문을 수십 번씩 받는다고 하니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특히 혼란스러워하는 5가지 질문을 예시와 함께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1. 소득이 없더라도 꼭 신고해야 할까요? → 네. 소득이 없어도 신고 대상에 해당된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! 예를 들어,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A씨는 2024년 한 해 동안 수입이 전혀 없었지만, 개인사업자로 등록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. 이 경우에도 신고 의무가 있으며, 이를 소홀히 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신고 안하고 넘어갔다가 무신고 가산세가 나오는 경우도 있어요. 잘 모르겠으면 무조건 신고하시면 됩니다. 해결 방법: 홈택스 로그인 → 신고서 작성 → '소득 없음'으로 0원 신고 처리 2. 종합소득세 신고했는데 왜 또 지방소득세를 내라고 하죠? → 종소세 = 홈택스 / 지방소득세 = 위택스 에서 따로 신고합니다. 예를들어 직장인 B씨는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후 끝났다고 생각했는데, 며칠 뒤 ‘지방소득세 미신고’ 문자 받았습니다. 해결 방법: 종합소득세 금액이 나왔다면, 무조건 지방소득세도 나오게 되어있어요. 홈택스에서 신고 완료 후, 화면에 뜨는 ‘지방소득세 위택스로 연동’ 버튼을 꼭 눌러주세요. 3. 단순경비율 쓰면 무조건 유리한가요? → 아닙니다. 실제 지출이 많으면 장부기장이 더 유리할 수 있어요. 예를들어 블로그 마케팅을 하는 C씨는 연매출 4천만 원. 단순경비율로 계산했더니 경비율이 45%라 실제보다 과세소득이 많아졌어요. 기장했다면 인정받을 수 있었던 실제 경비 70%는 날아간 셈. 팁: 소득이 2천만 원 이상이거나 경비가 많은 업종이라면 영수증이라도 모아서 장부 작성 추천! 장부작성이 번거롭고 복잡하더라도, 고생...